분류 전체보기43 ROE(자기자본이익률)은 무엇일까? 경제초보 필독, 기업의 성과를 읽는 핵심 지표1. ROE의 기본 개념 ROE(Return on Equity), 한국어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비율입니다.공식은 단순합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자기자본 100억 원을 가지고 1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10%가 됩니다. 즉, 주주들이 맡긴 돈으로 1년 동안 10%의 수익을 냈다는 의미죠. ROE는 단순한 숫자 같지만, 기업의 경영 효율성과 주주가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반드시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2. ROE와 주주의 관계 주주 입장에서 ROE는 ‘내가 투자한 돈을 얼마나 잘.. 2025. 9. 12. 융자는 무엇일까? 돈의 흐름과 경제를 이해하는 핵심 개념 돈이 필요할 때 우리는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요? 누군가는 저축을 꺼내 쓰고, 또 누군가는 부모님이나 지인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융자’를 받는 것입니다. 융자는 단순히 돈을 빌리는 행위를 넘어, 경제와 금융 전반을 움직이는 중요한 개념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융자의 정의부터 종류, 특징, 그리고 금융학적 심화 설명까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융자의 기본 개념 융자(融資)라는 말은 흔히 “자금을 융통한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쉽게 말해 필요한 자금을 외부에서 빌려 쓰는 행위입니다. 주로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이뤄지며, 개인이나 기업이 목돈을 필요로 할 때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사전적 정의로 보면.. 2025. 9. 12. 하워드 막스는 누구인가? 시장을 읽는 지혜의 투자자 경제와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하워드 막스(Howard Marks)입니다. 그는 단순한 펀드매니저가 아니라, 투자 철학과 통찰을 전 세계에 전파한 사상가 같은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투자 메모(Memo)는 워런 버핏조차도 “나오는 즉시 읽는다”고 말할 정도로 유명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워드 막스의 인생, 그의 투자 철학, 그리고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하워드 막스의 성장 배경하워드 막스는 1946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경제학과 금융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스쿨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학문적 성취뿐 아니라 시장을 바라보는 .. 2025. 9. 11. 회사를 이해하는 첫걸음: 연간보고서·사업보고서·재무제표 보는 법 투자를 하거나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자료가 바로 보고서입니다. 특히 상장된 기업은 해마다, 그리고 분기마다 각종 보고서를 작성해 공시해야 하는데요. 이 자료들은 단순히 회사의 현황을 알리는 문서가 아니라, 기업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진단서’이자 ‘성적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접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낯선 용어와 방대한 숫자들 때문에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막막하기 마련이죠. 오늘은 연간보고서, 사업보고서, 재무제표라는 세 가지 핵심 문서를 어떻게 읽고 이해하면 좋은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1. 연간보고서란 무엇일까?연간보고서(Annual Report)는 말 그대로 회사가 1년 동안의 경영 성과와 현황을 종합적으로 담아 투자자에게 알리는 문서입니다. 주주총회를 앞두고 배.. 2025. 9. 9. 포트폴리오 효과, 분산투자의 힘을 이해하다 투자를 시작한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격언이 있습니다. 바로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는 말입니다. 단순해 보이지만 이 짧은 문장 안에는 투자 세계의 중요한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바로 포트폴리오 효과(Portfolio Effect)라는 개념이지요. 이 글에서는 포트폴리오 효과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실제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포트폴리오 효과란 무엇일까포트폴리오 효과는 간단히 말해,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했을 때 전체 위험이 줄어드는 현상을 뜻합니다. 특정 자산 하나에만 투자하면 그 자산의 가격 변동이 곧 내 투자 성과가 됩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자산에 나누어 투자하면, 한쪽에서 손실이 발생해도 다른 쪽에서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즉, 개.. 2025. 9. 9. 복리란 무엇일까? 돈이 돈을 벌어주는 마법 우리가 돈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복리입니다. 단순히 은행 광고에서 자주 보는 용어가 아니라, 실제로 우리의 자산을 불려주는 가장 강력한 원리 중 하나이죠. 많은 사람들이 복리를 어렵게 생각하지만 원리를 이해하면 매우 단순합니다. 중요한 건 이 단순한 원리가 시간이 지날수록 엄청난 힘을 발휘한다는 사실입니다.단리와 복리, 기본 개념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은행에 넣고 연 5퍼센트 이율을 적용하면 1년 뒤 이자는 5만 원입니다. 2년 차에도 5만 원, 3년 차에도 5만 원이 붙습니다. 매년 같은 금액이 늘어나니 계산이 단순하죠.복리는 원금뿐 아니라 그동안 쌓인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습니다. 같은 조건에서 100만 원을 넣으면 1.. 2025. 9. 9.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